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

언제나 회계 실무자와 함께 하는 인터넷 재경부

회계

원가회계 // 표준원가계산 (직접재료원가)

bidoolgi 2023. 4. 14. 00:02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기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문
2. 직접노무원가
3. 직접재료원가
4. 변동제조간접원가
5. 고정제조간접원가

 

https://bidoolgi.tistory.com/39

 

원가회계 - 표준원가계산 (직접노무원가)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기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량이 많아서 나누어 다룰 예정이고,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문 2. 직접노무원가 3. 직접재료원가 4. 제조간접원가 5. 응용 https://bidoolgi.tist

bidoolgi.tistory.com

 

이전에 다룬 직접 노무원가는 위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표준원가계산의 기본 산식은 아래와 같다.

 

AQ × AP = 실제원가

SQ × SP = 표준원가
(AQ × AP) - (SQ × SP) = 차이 분석
 
차이
= (AQ × AP) - (SQ × SP)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AQ × AP) - (AQ × SP) = 가격 차이
(AQ × SP) - (SQ × SP) = 효율 차이

 

 

 

직접재료원가 특성 상, 구매한 재료 수량과 사용한 재료 수량이 다른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조를 위해 10,000Kg의 재료를 샀지만 9,000Kg만 사용할 수도 있고,

이미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재료가 있어서 당기에 5,000Kg의 재료만 구매하고 사용은 15,000Kg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매 수량과 사용 수량의 차이를 구분해서

가격 차이와 효율 차이를 계산해야 한다.

 

 

 

회계 연도 시작 전, 직접재료원가에 대한 예산은 아래와 같이 편성 했다.

 

예상 조업도 × 단위당 재료투입량 × 단가

= 1,000개(예상) × 10Kg/단위 × 2,000원/Kg

= 20,000,000원

 

 

 

 

 

당기에 재료를 2,100원/Kg 가격으로

11,000Kg 구매하고 9,000Kg 사용 했다면

구매한 재료 수량과 사용한 재료 수량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가격 차이와 효율 차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예산 편성 단계)

1,000개(예상) × 10Kg/단위 × 2,000원/Kg

= 10,000Kg × 2,000원/Kg

= SQ ×  SP

 

SQ = 10,000Kg

SP = 2,000원/Kg

 

 

차이 분석

= (AQ × AP) - (SQ × SP)
=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AQ × AP) - (AQ × SP) = 가격 차이 
(AQ × SP) - (SQ × SP) = 효율 차이 

 

 

 

앞서 포스팅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가격 차이는 구매 시점에 '얼마나 싸게 샀는지' 검토하는 과정이다.

효율 차이는 사용 시점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 했는지' 검토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가격 차이를 검토 할 때는, 구매 시점의 지표를 사용해야 하고

효율 차이를 검토 할 때는, 사용 시점의 지표를 사용해야 한다.

 

SQ, SP는 예산 편성 단계에서 이미 정해졌으니

AQ, AP를 구매 시점과 사용 시점으로 나누어야 한다.

다만 AP는 어차피 가격 차이 산식에서만 사용 되므로 굳이 시점 구분을 할 필요는 없고 (AP는 구매 시점에만 사용)

 

AQ에 대해서만 구매 시점, 사용 시점을 나누어서 검토한다.

 

구매 시점 = 실제 구매 수량 = AQ1

사용 시점 = 실제 사용 수량 = AQ2

 

 

 

 

(구매 시점)

 

가격 차이

= (AQ1 × AP) - (AQ1 × SP)

= (11,000Kg × 2,100원/Kg) - (11,000Kg × 2,000원/Kg)

= 가격 차이 1,100,000원 (불리한 차이)

 

AQ1 = 실제 구매 수량

 

 

 

(사용 시점)

 

효율 차이

= (AQ2 × SP) - (SQ × SP)

= (9,000Kg × 2,000원/Kg) - (1,000개 × 10Kg/단위 × 2,000원/Kg)

= 효율 차이 -2,000,000원 (유리한 차이)

 

AQ2 = 실제 사용 수량

※ SQ = 당초 예산 편성 시 예상한 사용 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