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

언제나 회계 실무자와 함께 하는 인터넷 재경부

회계

원가회계 // 표준원가계산 (고정제조간접원가)

bidoolgi 2023. 4. 22. 00:27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기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문
2. 직접노무원가
3. 직접재료원가
4. 변동제조간접원가
5. 고정제조간접원가
 
 
 
제조간접원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 한다.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고정제조간접원가에 대해 알아보겠다.
 
https://bidoolgi.tistory.com/41

원가회계 - 제조간접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기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문 2. 직접노무원가 3. 직접재료원가 4. 제조간접원가 5. 응용 제조간접원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 한다. 변동제조

bidoolgi.tistory.com

 
 
고정제조간접원가는 고정원가 이므로
조업도와 상관 없이 일정하게 비용이 발생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실제로는 고정원가도 약간의 변동성이 존재하고, 고정원가 이지만 생산량 성과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표준원가계산에서 어떻게 검토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예시를 들어보면 임차료, 관리부서 급여, 감가상각비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산을 100,000,000원을 편성 했다.
이를 총액예산목표 라고 한다. (총액목표)
 
참고로 앞서 포스팅에서 알아본 
투입량기준예산 (AQ × SP)
표준예산 (SQ × SP)
은 고정제조간접원가의 표준원가계산에서는 의미가 없다.
 
고정원가 개념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해도 비용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두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검토할 수 있다.
1. 실제 발생한 비용과 총액목표와 차이
2. 조업도 차이 (얼마나 많이/적게 생산했는지)
 
 
 
표준원가계산의 원가차이분석 모형을 따라 아래와 같이 차이를 검토한다.
 
1. 실제원가 - 총액목표 = 소비차이
2. 총액목표 - (SQ × SP) = 조업도차이
 
 
(예시)
총액예상목표를 100,000,000원 설정 했다.
제품 200개 생산, 총 2,000시간 소요 예상 (10시간/단위)
50,000원/시간 비용 발생 예상
 
관리부 직원 상여지급, 임차계약 갱신으로 임차료 상승에 따라 실제원가 110,000,000원 발생했다.
그러나 제품은 250개 생산했다.
 
소비차이
= 실제원가 - 총액목표
= 110,000,000원 - 100,000,000원
= 10,000,000원 (불리한 차이)
 
당초 총액목표보다 10,000,000원 더 비용이 소비되어 불리한 차이가 확인된다는 의미 이다.
 
 
조업도차이
= 총액목표 - 배부액(SQ × SP)
= 100,000,000원 - (250개 × 10시간/단위 × 50,000원/시간)
= 100,000,000원 - 125,000,000원
= -25,000,000원 (유리한 차이)
 
당초 200개 생산을 예상 했으나, 실제 250개 생산을 했으므로 조업도 측면에서 유리해졌다.
비록 고정제조간접원가 이므로, 실제 비용과 무관하지만
성과 평가 측면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