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원가계산에 대한 기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문
2. 직접노무원가
3. 직접재료원가
4. 변동제조간접원가
5. 고정제조간접원가
제조간접원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 한다.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먼저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변동제조간접원가에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전기료, 수선비, 연료비 등등 이다.
이런 요소들을 변동제조간접원가로 분류한 다음에, 시간을 기준으로 예산을 책정한다.
제품 100개 생산 예정이고
단위당 10시간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간당 2,000원 정도 (전기료, 수선비, 연료비 등등 변동제조간접비 요소에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비용이 발생할 것 같다.
예산
= 조업도 100개 × 10시간/단위 × 2,000원/시간
= 2,000,000원
이처럼 시간을 원가동인으로 계산하는게 변동제조간접원가 계산의 특징이다.
위 예시에서
단위당 표준원가
= 10시간/단위 × 2,000원/시간
회계 연도 종료 시점에 생산량으로 SQ를 확정해서 (SQ = 생산량 × 10시간/단위)
변동제조간접원가의 차이를 검토한다.
차이
= (AQ × AP) - (SQ × SP)
=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 [(AQ × AP) - (AQ × SP)] + [(AQ × SP) - (SQ × SP)]
(AQ × AP) - (AQ × SP) = 가격 차이
(AQ × SP) - (SQ × SP) = 효율 차이
위와 동일한 내용에 항목을 추가하여 예시를 들어보겠다.
제품 100개 생산 예정이고
단위당 10시간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간당 2,000원 비용이 발생할 것 같다.
실제 제품 생산에 1,800,000원 비용이 발생했다.
90개 생산했고, 1,100시간 투입 되었다.
SQ = 90개 × 10시간/단위 = 900시간
SP = 2,000원
AQ = 1,100시간
AP = 1,800,000원 ÷ 1,100시간 = 1,636원/시간
가격 차이
= (AQ × AP) - (AQ × SP)
= (1,100시간 × 1,636원/시간) - (1,100시간 × 2,000원/시간)
= 1,800,000원 - 2,200,000원
= 가격 차이 -400,000원 (유리한 차이)
당초 예산 편성 시점에 추정한 2,000원/시간 보다, 실제 비용 발생은 1,636원/시간 으로 비용 절감 되었다.
전기를 적게 사용했거나, 유류비가 인하되었다거나 등등의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효율 차이
= (AQ × SP) - (SQ × SP)
= (1,100시간 × 2,000원/시간) - (90개 × 10시간/단위 × 2,000원/시간)
= 2,200,000원 - 1,800,000원
= 효율 차이 400,000원 (불리한 차이)
당초 예산 편성 시점에 추정한 작업시간보다, 실제로 200시간 더 사용한 사실이
효율 차이 400,000원 불리한 차이로 확인 되었다.
(AQ × AP) - (SQ × SP)
= 1,800,000원 - 1,800,000원
= 0
이지만, 가격차이와 효율차이로 어떤 원인에서 성과가 좋고 나빴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