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

언제나 회계 실무자와 함께 하는 인터넷 재경부

법인세 12

주석 // 법인세 (1)

반기 결산 시즌이라 결산, 정산표, 주석 준비에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당사의 법인세 관련 주석 사항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분량이 길어질 것 같아, 여러 편으로 나누어 포스팅 하겠습니다. (1) 세무조정을 마친 이후에 산출된 법인세비용에서 (2) 기준서 1012호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반영해 KIFRS기준으로 conversion (3) 기업회계 기준 법인세비용 산출 이런 절차로 장부에 법인세를 인식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아래와 같은 형태의 주석을 사용 합니다. 각 항목별로 작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법인세비용의 구성내역 구분 당기 전기 (1) 당기 법인세 (2) 이연 법인세 (3)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 법인세비용 (1) + (2) + (3) (1) 당기 법인세 법인세 3호 ..

회계 2023.07.10

법인세 - 업무용 승용차 관련 비용

업무용 승용차란, 부가가치세법상 매입세액 불공제 대상인 비영업용 소형승용차 이다. 회사에 업무용 승용차가 있다면, 감가상각비 또는 그 외 비용이 관련하여 발생하는데 이러한 업무용 승용차 관련 비용을, 업무사용비율을 검토해 세법상 손금으로 인정하는 계산을 한다. 법률에서는 손금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추가로 다루고 있다. 1. 임직원 전용보험 가입 2. 운행기록부 사용 임직원 전용 보험 가입 임직원 전용보험에 가입되어있지 않은 승용차는 업무용 승용차 관련 비용 전액 손금불산입 한다. 보험 가입은 필수로 하라는 의미 이다. 운행기록부의 작성기록으로, 업무사용비율을 구할 수 있다. 업무사용비율 = 운행기록부상, "해당 사업연도 업무용 사용거리 ÷ 해당 사업연도 총 주행거리" 다만, 작성하지 않았어도 (1) ..

세무/법인세 2023.03.22

법인세 - 기부금 조정

기부금 조정에 대한 개론을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가 되길 바란다. 법인이 기부한 기부금을 무한정 손금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 이다. 현금주의를 바탕으로 조정한다. 기부금 손금 한도는 법인의 소득금액을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 예를들어, 기부금 관련 세무조정을 다른 조정 항목과 동일한 방법으로 당기순이익에 손금산입, 불산입 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기부금 손금 한도 초과되면, 법인의 소득금액이 변경되고, 그러면 다시 기부금 손금 한도가 변경 되는데, 다시 법인의 소득금액이 변경되고... 이런 식의 순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기부금의 한도초과, 추인 등은 통상적인 세무조정과 별도의 명세로 관리 한다. 그래서, "기부금 한도초과액과 전기 기부금 한도 초과 이월액의 손금산입액은,..

세무/법인세 2023.03.21

법인세 // 업무무관 부동산 등에 관련한 차입금이자 조정

서식 명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다. 업무무관 부동산, 동산, 가지급금에 대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회사가 차입을 해서, 부동산 등에 투자하거나 또는 대표자에게 임의로 대여한다거나 하는 등의 행위로 발생한 이자에 대한 조정사항이다. 그래서 차입금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조정사항 계산을 한다. 1. 차입금에 대하여, 회사가 지급한 이자금액을 먼저 구한다. 2. 업무무관 부동산, 동산, 가지급금 잔액 적수와 차입금 적수를 구해서 손금불산입률을 구한다. 지급이자 × 손금불산입률 = 차입금 지급이자에 대한 손금불산입 금액 손금불산입률은 아래와 같이 구한다. Min( 업무무관 부동산+동산+가지급금 잔액 적수 , 차입금 적수 ) ÷ 차입금 적수 업무무관 부동산, 동산, 가지급금이 없는 법인의 경우에는 손금불산입률이..

세무/법인세 2023.03.20

법인세 - 가지급금 등의 인정이자 조정

가지급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질은 대여금 성격의 자금에 대한 인정이자 조정이다. 개론만 간단하게 정리하도록 하겠다. 가지급금 인정이자 익금산입액 = 가지급금 인정이자 - 회사 장부상 이자계상액 이와 같은 계산을 통해 나온 결과 금액을 배당, 상여, 기타소득, 기타사외유출로 소득처분 한다. 가지급금에서 제외하는 항목도 있는데, 대부분 사용인에 대한 지출액이다. 찾아보면 상세히 다룬 정보가 많으니,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가지급금 인정이자를 구하기 위해 1. 가지급금 구하기 2. 인정이자율 구하기 순서로 알아보겠다. 1. 가지급금 구하기 동일인에 대한 가지급금과 가수금이 동시에 있다면, 상계한 후의 금액을 적용한다. 만약 약정에 의해 상계할 수 없다면 상계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각자 상환기간과 ..

세무/법인세 2023.03.20

법인세 - 재고자산 평가 조정

재고자산 평가 및 유가증권의 평가로 되어있으나, 재고자산만 다루도록 하겠다. 재고자산은 원가법, 저가법 중에 신고한 방법으로 평가하게 되어있다. 원가법은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총평균법, 이동평균법, 소매재고법 등으로 가능하다. 재고자산의 분류별로 다른 평가방법을 신고해도 무방하다. (원재료, 재공품, 재료 각자 다른 방법으로 신고 가능) 저가법은 Min[원가법, 시가] 이다. 저가법을 어떤 원가법으로 신고했는지에 따라 저가법(개별법), 저가법(선입선출법), 저가법(후입선출법)... 등등등 이 있다. 신고를 안했다면 선입선출법으로 평가한다. 신고를 하긴 했는데, 신고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 평가했다면(임의변경), 아래 산식으로 평가한다. Max[1*, 2*] *1) 당초 적법하게 신고한 평가 방..

세무/법인세 2023.03.17

법인세 - 접대비 조정

접대비는 아래 3가지 단계 먼저 구분이 필요하다. 1. 증빙 없는 접대비다. 증빙 없는 접대비는 사적사용경비로, 손금불산입, 대표자상여 처분 한다. 2. 증빙은 있는데 일반영수증이고(적격증빙이 아니고), 건당 3만원 초과금액 이다. (경조사비는 20만원 초과) 손금불산입, 기타사외유출 처분 한다. 3. '건당 3만원 이하 일반영수증' 또는 '20만원 이하 경조사비' 또는 '적격증빙을 갖춘 접대비' 이다. 한도계산 하여, 한도 만큼 손금인정받고, 한도를 초과한 금액은 손금불산입, 기타사외유출 처분 한다. (적격증빙은 세금계산서, 신용카드매출전표, 현금영수증 등 이다.) 접대비 조정 서식에서 1번 2번 항목은 (을) 서식에서 작성 되고, 3번 항목은 (갑) 서식에서 작성 된다. (참고) (예시) 회사의 당기..

세무/법인세 2023.03.15

법인세 - 대손충당금 및 대손금 조정

회계 장부상 대손충당금 설정한 비용은 세법에서 인정하는 한도가 있다. 한도 계산을 해서, 초과한 금액이 있다면 손금불산입, 유보 처분한다. 세무조정은 아래 방법으로 처리한다. 1. 전기 대손충당금 한도 초과액 추인 2. 당기 대손충당금 한도액 계산 3. 당기 대손충당금 한도 초과액 손금불산입 유보 처분 한도액은 아래의 산식으로 계산한다. 대손충당금 한도액 = 세법상 설정 대상 채권 × Max[1%, 대손실적률] '세법상 설정 대상 채권'에 대한 개념과, '세법상 대손금'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면 한도계산 산식을 통해 세무조정을 할 수 있다. 1. 세법상 설정 대상 채권 검토 2. 세법상 대손금 검토 3. 대손실적률 검토 세법상 설정 대상 채권 = 장부상 채권 잔액 ± 채권의 유보 잔액* - 설정 제외 채권..

세무/법인세 2023.03.13

법인세 - 퇴직연금부담금 등 조정

법인세 - 퇴직급여충당금 포스트와 관련 있으니, 해당 포스트도 참고 가능하다. https://bidoolgi.tistory.com/16 법인세 - 퇴직급여충당금 조정세무에서는 퇴직급여충당금, 퇴직연금부담금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당 포스트는 퇴직급여충당금 조정에 관한 내용이다. 퇴직급여충당금은 회계에서는 미래에 지급할 퇴직급여를 추정하여 인bidoolgi.tistory.com 임원 또는 사용인을 수급자로 하는 연금으로, 보험회사 은행 등의 기관이 취급하는 퇴직연금부담금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손금에 산입하도록 하는 제도 이다. 퇴직급여 XX / 퇴직급여충당금 XX 처리를 세무에서 손금 인정해주지 않는다. 퇴직연금운용자산 YY / 보통예금 YY 처리를 손금으로 인정해준다는 의미 이다. (퇴직연금운용자산, 퇴직..

세무/법인세 2023.03.12

법인세 - 퇴직급여충당금 조정

세무에서는 퇴직급여충당금, 퇴직연금부담금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당 포스트는 퇴직급여충당금 조정에 관한 내용이다. 퇴직연금부담금 조정은 별도로 포스팅을 하였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s://bidoolgi.tistory.com/m/entry/%EB%B2%95%EC%9D%B8%EC%84%B8-%ED%87%B4%EC%A7%81%EC%97%B0%EA%B8%88%EB%B6%80%EB%8B%B4%EA%B8%88-%EB%93%B1-%EC%A1%B0%EC%A0%95 법인세 - 퇴직연금부담금 등 조정법인세 - 퇴직급여충당금 포스트와 관련 있으니, 해당 포스트도 참고 가능하다. https://bidoolgi.tistory.com/16 법인세 - 퇴직급여충당금 조정 세무에서는 퇴직급여충당금, 퇴직연금부담..

세무/법인세 2023.03.12